뉴스시장 & 가격 동향

2025년 1월 첫 주 아파트 매매·전세가격 동향: 전국 매매 0.03% 하락, 전세 보합세 유지

2025년1월1주(1.6일기준)_주간아파트가격동향
2025년 1월1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(출처: 한국부동산원)

– 수도권·지방 모두 매매 하락세 지속, 세종시 매매 -0.08%·전세 -0.04% 기록 –
– 서울 매매 보합세 유지, 전세는 하락 전환 –

한국부동산원은 2025년 1월 1주(1월 6일 기준)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을 발표하며, 매매가격은 0.03% 하락, 전세가격은 0.00%로 보합세를 유지했다고 밝혔다​.

매매가격 동향: 전국·지방 모두 하락세 지속

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.03% 하락했다. 수도권(-0.02%)과 서울(0.00%)은 전주와 동일한 흐름을 이어갔으며, 지방은 하락폭이 확대되며 -0.05%를 기록했다. 특히, **세종시는 -0.08%**로 지방 중에서도 높은 하락률을 보였다​.

서울에서는 **강북권(0.00%)**과 강남권(0.01%) 모두 대체로 보합세를 유지했으나, 일부 지역에서는 혼조세가 나타났다. 강북권에서는 중랑구(-0.02%)와 동대문구(-0.02%)가 하락했으나, 용산구(0.04%)와 성동구(0.04%) 등 선호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나타났다. 강남권에서는 서초구와 송파구(각 0.03%)가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​.

지방에서는 5대 광역시의 하락폭이 확대되며 -0.06%를 기록했고, 대구(-0.13%), 부산(-0.07%), 세종(-0.08%) 등 주요 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.

전세가격 동향: 보합세 유지 속 일부 지역 하락

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보합(0.00%)을 유지했으나, 지역별 차이는 뚜렷했다. **서울(-0.01%)**은 하락 전환하며 학군지 등 일부 선호 단지에서는 상승했지만, 입주 물량 영향으로 다른 지역은 하락세를 보였다.

특히, 세종시 전세가격은 **-0.04%**로 하락 전환했으며, 고운·다정동 등 대단지 아파트 중심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.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0.01% 상승했으나 인천은 -0.04%를 기록하며 약세를 나타냈다​.

지방에서는 강원(0.05%)이 상승폭을 키우며 가장 좋은 흐름을 보였고, 대구(-0.09%), 제주(-0.04%) 등은 하락세를 이어갔다.

지역별 주요 특징

  1. 서울: 재건축 단지와 학군지 중심으로 일부 상승세를 보였으나, 대출 규제와 입주 물량 영향으로 보합세 유지.
  2. 수도권: 경기 일부 지역(안양 동안구 0.10%, 성남 수정구 0.15%)은 학군 수요로 상승했으나, 평택(-0.13%), 이천(-0.13%) 등은 하락.
  3. 지방: 세종(-0.08%)과 대구(-0.13%)는 하락폭이 크며, 강원(0.00%)은 보합으로 전환.

전망과 분석

전문가들은 “대출 규제와 금리 부담 등으로 인해 매수 심리가 여전히 위축되어 있다”며, “특히 지방에서는 추가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”고 분석했다. 한국부동산원은 “세종시 등 특정 지역의 하락폭 확대가 두드러지고 있어,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과 수요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”고 전했다.

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(R-ONE)과 모바일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답글 남기기